
-
특수 상황
-
이상반응
상호작용 -
효과

프로디악스® 23은 몇 세부터 맞을 수 있나요?
프로디악스® 23은 2세 이상의 고위험군# 50세 이상 성인에서
백신에 포함되어 있는 폐렴구균 혈청형에 의한
폐렴구균 질병 예방을 위해 접종할 수 있습니다.1,†
골수종, 전신암, 만성신부전, 신증후군, 기타 면역억제와 관련있는 상태 (예: 장기 또는 골수이식), 면역억제 화학요법
(장기간의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 등)을 받고 있는 사람
† 국내 예방접종지침에 따른 접종 권고 연령 : 65세 이상

프로디악스® 23으로 모든 폐렴구균 질환이 예방되나요?
프로디악스® 23은 백신에 포함되어 있는 23가지의 폐렴구균 혈청형*에 의한
폐렴구균 질병의 예방에 대해 적응증을 허가받았으나, 백신 미포함 혈청형이나
다른 병원균에 의한 폐렴에 대한 예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1

프로디악스® 23은 몇 번 맞아야 하나요?
연령이나 기저 질환 유무에 따라 권고되는 접종 횟수가 다릅니다.2
§ 만성 심혈관질환, 만성 폐질환, 당뇨병, 알코올 중독, 만성 간질환
※ 프로디악스® 23 국내 허가사항에 따르면, 프로디악스® 23을 이전에
접종받은 사람 중 면역력이 정상인 건강한 성인에게는 일반적으로 3회 이상의 재접종이 권장되지 않습니다.1
3회 이상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에 대한 안전성 자료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2차 접종 후의 재접종은 일반적으로 권장 되지 않습니다.1
대한감염학회의 성인 예방접종지침2
항목 | 만성질환자§ | 면역저하자, 기능적∙해부학적 무비증 |
뇌척수액 누수, 인공와우 삽입 환자 |
건강한 65세 이상 고령자 |
---|---|---|---|---|
프로디악스® 23 최대 접종 횟수 |
2회 (65세 이후 1회) |
3회 (65세 이후 1회) |
2회 (65세 이후 1회) |
1회 |
§ 만성 심혈관질환, 만성 폐질환, 당뇨병, 알코올 중독, 만성 간질환
※ 프로디악스® 23 국내 허가사항에 따르면, 프로디악스® 23을 이전에
접종받은 사람 중 면역력이 정상인 건강한 성인에게는 일반적으로 3회 이상의 재접종이 권장되지 않습니다.1
3회 이상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에 대한 안전성 자료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2차 접종 후의 재접종은 일반적으로 권장 되지 않습니다.1

이미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맞았습니다. 프로디악스® 23을 맞아야 하나요?
18세 이상으로 만성 질환이 있거나,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폐렴구균에 항체 생성률이 감소할 수 있어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맞았더라도 프로디악스® 23 접종이 권장됩니다.2
고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폐렴구균에 항체 생성률이 감소할 수 있어
13가 폐렴구균 백신을 맞았더라도 프로디악스® 23 접종이 권장됩니다.2

특별한 기저 질환은 없는 건강한 65세 입니다.
다른 질환이 없어도 폐렴구균 예방을 위해 프로디악스® 23을 맞아야 하나요?
다른 질환이 없어도 폐렴구균 예방을 위해 프로디악스® 23을 맞아야 하나요?
그렇습니다.
국내 대한감염학회에 따르면, 특별한 기저 질환이 없더라도
만 65세가 넘으신 어르신의 경우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 또는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2
국내 대한감염학회에 따르면, 특별한 기저 질환이 없더라도
만 65세가 넘으신 어르신의 경우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 또는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2
본 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답변은 관련 학회의 가이드라인 또는 제품 허가사항에 근거하는 것으로서,
개별 환자에 대한 주치의의 진단 및 결정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해당 백신을 접종하실 때에는 반드시 주치의의 진단 및 결정에 따라야 함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별 환자에 대한 주치의의 진단 및 결정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해당 백신을 접종하실 때에는 반드시 주치의의 진단 및 결정에 따라야 함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